Surprise Me!

[뉴스분석]판문점 담판서 ‘비핵화·종전’ 이룰까

2018-04-25 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이틀 앞으로 다가온 남북정상회담, 하태원 국제부장과 자세히 전망해보겠습니다. 키워드 먼저 설명해주시죠. <br> <br> 평화정착의 갈림길에 선 남북정상이 펼칠 <판문점 담판>이 오늘의 분석 키워드입니다.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비핵화는 물론 평화체제 구축문제까지 다루게 됩니다. 전세계도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] 핵문제는 과거 주로 미국과 북한이 다뤄오던 의제였는데 이번에는 이 문제를 남북정상회담의 핵심주제로 삼았죠? <br><br>피해나갈 수 없는 주제를 정면으로 다루겠다는 것입니다. 핵개발 장본인의 입에서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주목됩니다. 앞선 두 차례의 정상회담에 포함되지 않았던 외교부 장관도 처음으로 대표단에 들어갔습니다. <br><br>강 장관은 이번 회담의 목표가 비핵화 합의 진전, 그리고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질문] 이번 회담에서 비핵화 합의가 어느 정도 수준까지 이루어질 것이라고 보십니까?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은 북-미정상회담의 비핵화 합의를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될 것 이라는 점을 여러번 강조했습니다. <br><br>우리 특사단 방북, 그리고 시진핑과의 면담에서 나온 김정은의 발언을 종합하면 27일 정상회담의 선언 수준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. 지난달 북중 정상회담 당시 김정은의 발언이었죠. <br><br>한국과 미국이 단계적이고 동시적 조치를 취한다면,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했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과 흥정하겠다는 얘깁니다. 김정은이 비핵화 의지를 육성으로 밝힌다면 이번 정상회담 최대 성과가 될 것 같습니다. <br><br>[질문] 종전선언 문제도 청와대가 심혈을 기울여 준비하고 있는 대목 아니겠습니까? 실제로 6.25 전쟁은 끝났다는 선언을 들을 수 있을까요? <br><br>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 합의문 4항에 명시된 내용이죠. 3자 또는 4자 정상이 만나 종전을 선언하는 문제를 추진하자는 합의였습니다. <br><br>서훈국정원장, 김영철 통전부장 라인이 아직까지도 이 문제에 매달려 있을 것 같은데요. 큰 진전을 이루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. <br><br>문 대통령도 아베 총리와의 통화에서 남북미 3자간 합의가 최소한의 조건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[질문] 역시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가 필수조건인 것인데, 그래서 정의용 안보실장이 또 미국에 갔죠? <br><br>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의 핵심당사자라는 점에서 미국과의 협력에 최선을 다하고 있고 그 창구는 역시 정의용 실장입니다. 매파 중 매파로 알려진 볼턴 국가안보보좌관과도 핫라인을 확실하게 구축한 듯 합니다. <br><br>정상회담 직후 합의 내용을 문 대통령이 직접 트럼프에게 설명할 예정이구요. 북-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에 다시 한번 한미정상회담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. 5월 중순 워싱턴입니다. <br><br>[질문] 문 대통령도 지금 마지막 준비에 여념이 없을 것 같은데요? <br> <br>공식일정없이 회담 준비에만 열중하고 있다는 문 대통령이 청와대 내에서 점심식사를 마치고 나서는 모습이 공개됐습니다. <br> <br>[문재인 대통령]<br>(정상회담 준비 잘 되고 있죠?) 네 잘 하겠습니다. <br><br>비핵화나 종전선언 등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가를 핵심주제는 모두 문 대통령과 김정은의 담판에서 결정될 것 같습니다. 확실하게 북한의 핵을 제거한다는 전제하에 남북관계 발전의 청사진이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<br>앵커. 지금까지 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 <br>

Buy Now on CodeCanyon